구글애드센스를 달고 블로그를 하게되면
항상 내가 쓰는 글이 애드센스 규칙을 위반하는 것은 아닐까
마음한켠에 걱정을 하게 된다
될대로 되라는 식의 운영이 아니라
나처럼 블로그를 한 번 정성들여 잘 키워보고 싶어하는 자는 더욱 그럴 것이다
더욱이 구글애드센스는 승인거절부터 정책위반이 되기까지도
원인이 무엇인지 알려주지 않고 내 블로그에 어떤 영향이 가는 지도 모르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
그래서 정책위반에 걸리면 그냥 그 블로그를 버리고
새로 블로그를 키우는 사람까지 있다고 한다
그런데 최근 우리 구글 애드센스가 확 바꼈다고 한다
새롭게 개선된 정책 센터가 그것인데
새로운 구글애드센스 정책 센터는
어떤 내용을 제공하는 지 한 번 확인해보고자 한다
새로운 정책센터
우선 정책센터는 구글 애드센스의 좌측 메뉴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
나는 지금 들어가보니 현재 정책을 위반하는 문제가 없다고 나온다
'앞으로도 잘 유지해 주시기 바랍니다.'라는 문구가 뭔가 협박같이 느껴지기도 한다
정책 센터는 구글 프로그램 정책을 잘 준수하는 지 알려주는 메뉴인데,
정책 센터에서 블로그에 광고를 넣는데 어떤 영향이 있는지
문제를 찾고 해결할 수 있게 도와준다
정책센터에서는 정책위반 문제 뿐만 아니라
계정에 연결된 사이트의 전체 모니터도 할 수 있다
혹시나 블로그에 정책위반 문제나 감지되는 것이 있으면
등록된 이메일이나 정책센터안에서 알림을 준다
위 이미지를 보면 사이트마다 어떤 상태인지
어떤 이슈로 정책 위반에 걸렸는지 등을 표로 보여준다
이런 대시보드 형태의 안내는 내 블로그의 문제를 바로바로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
즉시 수정할 수 있다는 점이 좋은 것 같다
위 그림에서 Must fix 부분을 보면 뭘 얼마나 수정해야하는 지도 알 수 있게 숫자로 알려준다
정책위반 상태 종류
그럼 정책위반 상태는 어떤 것이 있는 지 한 번 보자
사이트가 정책을 준수하지 않으므로 구글에서 제시하는 정책에 맞도록
수정해야한다
이 경우에 광고 게재가 중지 또는 제한된다
보통은 음안물이나 위험콘텐츠 또는 광고 클릭을 유도하는 레이아웃을 가진 블로그가
정책위반이 될 수 있다
블로그로 수익을 내는 것은 가능하지만
일부 광고는 입찰이 안들어오므로
내 블로그에 나타나는 광고 수가 현저히 적어질 수 있다
이것은 성적인 콘텐츠나 충격적인 콘텐츠,
온라인 도박 관련 콘텐츠를 포스팅할 때 걸릴 수 있다
경고는 바로 광고 게재가 중지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
광고 게재 위험이라는 시정 조치가 내려진다
경고는 광고랑 콘텐츠가 겹쳐서 표시될 때 경고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
경고를 받으면 블로그를 구글 정책에 맞춰서 변경해줘야하는데
경고를 받고도 방치할 경우
블로그나 애드센스 계정에 추가적인 조치가 내려질 수 있으니
만일 자신이 경고를 받았다면 바로바로 할 수 있는 조치를 해야한다
쿠팡파트너스 4월 전환율 무려 37%!! 4월 수익 분석해보기 (0) | 2022.05.02 |
---|---|
스마트 스토어에 네이버 애널리틱스 연동하기 (0) | 2022.05.01 |
쿠팡파트너스 지금 해도 되는 이유 (2) | 2022.04.22 |
크몽 전자책 첫 판매 성공! 첫 수익 발생! (5) | 2022.04.21 |
크몽 승인! 전자책 판매 개시! (1) | 2022.04.14 |
댓글 영역